- Today
- 68
- Total
- 244,424
Notice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Archives
- 2022/08 (1)
- 2022/07 (1)
- 2022/06 (8)
- 2022/05 (5)
- 2022/04 (11)
- 2022/03 (11)
- 2022/02 (1)
- 2022/01 (2)
- 2021/11 (2)
- 2021/10 (2)
- 2021/09 (4)
- 2021/02 (1)
- 2020/07 (1)
- 2020/06 (6)
- 2020/05 (5)
- 2020/04 (5)
- 2020/03 (5)
- 2020/02 (6)
- 2020/01 (6)
- 2019/12 (7)
- 2019/11 (8)
- 2019/09 (7)
- 2019/06 (2)
- 2019/05 (6)
- 2019/04 (4)
- 2019/03 (8)
- 2019/02 (5)
- 2019/01 (2)
- 2018/11 (7)
- 2018/10 (10)
Joonas' Note
Github Gist 공개/비공개하기 본문
Github Gist에서 간단한 소스 파일을 작성하여 글에 첨부하기 좋도록 embed 태그로, 또는 보기 편하도록 퍼머링크를 제공한다.
하나의 gist는 만들 때 secret/public 중에 골라서 만들 수 있다. secret은 나중에 Edit에서 Make public으로 공개할 수 있다.
근데 반대로 public gist에서는 비공개로 전환하는 Make secret 버튼이 없다.
https://gist.github.com/zmwangx/bc79e7d95d82c2f5e0976975b6e1c6d6
왜 Make secret 버튼이 없냐는 질문에 답변은 대충 이렇다.
비밀로 바꾸게 되면 URL 주소가 바뀌어서 사용자들에게 혼란이 생긴다.
한번 공개된 이상 비밀은 끝났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된다.
https://help.github.com/articles/about-gists/#public-gists
All gists에서 보이지 않을 뿐이지 사실 링크를 통해 오거나 첨부된 embed 태그로는 그냥 볼 수 있다.
결국 secret은 나만 볼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검색으로부터 보호된다는 의미가 맞겠다.
반응형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