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github (7)
Joonas' Note

https://github.com/pytorch/pytorch/issues/16417 RuntimeError: CUDA out of memory. Tried to allocate 12.50 MiB (GPU 0; 10.92 GiB total capacity; 8.57 MiB already allocated; 9.28 CUDA Out of Memory error but CUDA memory is almost empty I am currently training a lightweight model on very large amount of textual data (about 70GiB of text). For that I am using a machine on a c... github.com 대부분 아래 메시..
VSCode에서 터미널로 git bash를 열어 git pull 등의 원격지와의 통신을 할 때, 올바른 username과 password를 입력해도 로그인에 실패하거나 private repo를 못 찾는 경우가 있었다. SSH 설정도 문제가 아니었고, 2-factor auth도 문제가 아니었다. GitHub의 token 문제도 아니었다. VSCode가 아닌 git bash 터미널을 별도로 직접 실행하면 해결되었다.

작년 말에 GitHub에 액션(Actions)이라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제 GitHub에서는 자체적으로 CI 기능을 제공한다. 그 전에는 Travis-CI 아니면 CircleCI에서 빌드 & 테스트를 하고, 그 상태를 위 같은 배지 이미지로 표시했는데, 이제 직접 제공하면서 더 간편해졌다. 환경 변수를 암호화해서 Travis-CI에서 빌드하는 그런 기능까지 있는지는 써보면서 확인을 해봐야겠다. (aws나 google api key 때문에.. 이거 암호화하는 거 꼭 필요함..) CI + Chrome WebDriver + pytest 배포 전에는 미리 배포 환경으로 테스트하면서 종종 사용하는데, 이번에는 문제가 생겼다. 분명 Windows 10에서는 Chrome WebDriver 사용하는 selenium ..
2014년부터 2019년까지 내가 github을 사용했던 흔적들을 모두 모아봤다.여기서 초록색(흔히 말하는 잔디)은 이 문서(GIthub - Learn how we count contributions)를 기준으로 색칠된다.어떤 레포지토리에 이슈를 적은 것, Pull Request 한 것, commit 한 것, 심지어는 start를 누른 것도 포함되는 것 같다.이렇게 모아서 보니 패턴이 없는 듯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사실, Github을 사용한 이유는 개인 데스크탑이 없어서 컴퓨터를 자주 옮기다보니까 저장소로만 사용했는데, 조금 더 지나서야 버전 관리를 이유로 사용할 수 있었다. 한참 더 지나서야 issue, PR 까지 사용했지만 이렇게 보니 생각보다 꾸준히 개발했나보다.
원문: https://wiki.openstack.org/wiki/Docker[번역] Docker - OpenStack (1/4)[번역] Docker - OpenStack (2/4)[번역] Docker - OpenStack (3/4)[번역] Docker - OpenStack (4/4)4. Configure DevStack to use Nove-Docker (alternate post-stack method)데브스택(DevStack)의 도커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하면 이전 단계들에서 작성한 모든 설정이 바뀝니다.도커를 설치하고, Decstack을 설치한 후 stack.sh를 실행하세요.stack.sh 스크립트의 실행이 끝나면, devstack 디렉토리에서 unstack.sh를 실행하세요.아래와 같이 nova-d..
(07:19:34) joonas@ubuntu ~/test (master) $ git push -u origin masterUsername for 'https://github.com': joonas-yoon Password for 'https://joonas-yoon@github.com': Counting objects: 11538, done. Delta compression using up to 2 threads. Compressing objects: 100% (11254/11254), done. Writing objects: 100% (11538/11538), 165.52 MiB | 13.39 MiB/s, done. Total 11538 (delta 1192), reused 0 (delta 0) rem..
Github Gist에서 간단한 소스 파일을 작성하여 글에 첨부하기 좋도록 embed 태그로, 또는 보기 편하도록 퍼머링크를 제공한다. 하나의 gist는 만들 때 secret/public 중에 골라서 만들 수 있다. secret은 나중에 Edit에서 Make public으로 공개할 수 있다. 근데 반대로 public gist에서는 비공개로 전환하는 Make secret 버튼이 없다. https://gist.github.com/zmwangx/bc79e7d95d82c2f5e0976975b6e1c6d6왜 Make secret 버튼이 없냐는 질문에 답변은 대충 이렇다.비밀로 바꾸게 되면 URL 주소가 바뀌어서 사용자들에게 혼란이 생긴다.한번 공개된 이상 비밀은 끝났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된다. https://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