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발 (103)
Joonas' Note
Django에서 Summernote Widget을 사용하고 있는데 production 모드 즉, DEBUG=False 인 상태에서 이미지 업로드가 갑자기 안됐다.삽질을 한참 하다가 결론은 Debug -> Production 모드 시 static 파일들과 media 파일들의 제공 방식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디버그 모드에서는 django에서 해주는 것 같지만, 배포 모드에서는 웹 서버로 관리를 넘겨버리는 것 같다. 다시 말해, Nginx나 Apache에서 /static과 /media 경로와 연결되는 디렉토리를 지정해주어야 한다.http://uwsgi-docs.readthedocs.io/...#configure-nginx-for-your-site을 읽어보면, location /static에 alias가 걸려있..
릴리즈 파일을 찾았다!https://drive.google.com/open?id=1yax_k-xiMhbjOTNPg3MFv_nIlx0BryzrUnityPlayer.dll 파일 때문에 20MB를 넘어, 첨부하지 못했다. 홍보 영상 2017년도 교내 작품경진대회 출품을 위해 제작했다. 제작 기간은 1~2주정도.아이콘들은 Font Awesome에서, 카툰 렌더링은 에셋 스토어에서 Toon Shade를 사용했다. 숫자판은 직접 포토샵으로 제작하였다.발표 당시 사용한 PPT 3d mine sweeper with unity 3d from Joonas Yoon 어떤 한 블럭의 주변 26방향에 대해서 표시하려 했지만, 숫자 표현이 더러워서 포기하였다. 그리고 하나의 단면에 대해서만 집중하고 힌트가 부족할 경우 다른 단면..
(07:19:34) joonas@ubuntu ~/test (master) $ git push -u origin masterUsername for 'https://github.com': joonas-yoon Password for 'https://joonas-yoon@github.com': Counting objects: 11538, done. Delta compression using up to 2 threads. Compressing objects: 100% (11254/11254), done. Writing objects: 100% (11538/11538), 165.52 MiB | 13.39 MiB/s, done. Total 11538 (delta 1192), reused 0 (delta 0) rem..
분산컴퓨팅 최종 프로젝트 보고서 (2017) Kinesis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from Joonas Yoon AWS 서비스를 활용해보는 것이 분산컴퓨팅 프로젝트였다. EMR를 쓰는 사람도 있었고, Amazon SNS를 사용해보거나 AWS Shield를 분석하거나 Amazon GameLift를 다뤄보는 프로젝트 등 재밌는 발표가 많았다.나는 RedShift를 다루어보고 싶었는데, 그러기 위해선 분석할 데이터나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데이터의 수집부터 저장, 그리고 그 분석까지 하면 재밌을 것 같아서 프로젝트 주제를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저장"으로 정했다.AWS re:invent에서 발표된 PPT들을 많이 참고하면서 아키텍처를 구상하고 서비스를 선택했다.우선 어떤 데이터를..
https://easyengine.io/tutorials/nginx/troubleshooting/emerg-bind-failed-98-address-already-in-use/ nginx: [emerg] bind() to 0.0.0.0:443 failed (98: Address already in use) nginx: [emerg] bind() to [::]:443 failed (98: Address already in use) 해당 포트를 이미 사용 중이라고 나오는 데, 그럼 해당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종료해버리면 된다. ubuntu@joonas:~$ sudo fuser -k 80/tcpnginx를 재시작하면 잘 돌아간다.
https://joonas-yoon.github.io/MenuSelectHelper/ 친구가 저녁메뉴를 계속 못 골라서 그냥 아무거나 나오는 거 먹으라고 하려고 구현 저녁 약속시간까지 2~3시간 남짓 남아서 그동안 만들었다. 메뉴 항목들은 이 그림을 참고했음. 사실 다 핑계고 시험기간에 공부하기 너무 싫었다. 구현도 그렇고 색깔 바뀌면서 골라지는 게 생각보다 재밌어서 이것저것 추가해봤다. 서브라임 켜서 크롬으로 확인하며 구현한거라 HTML + javascript가 전부. 비빔냉면/물냉면도 정해주는 갓갓인 구조. 탕수육 찍먹/부먹은 추후 업데이트 (...) 매운걸 못 먹거나 비린걸 못 먹는 친구가 있어서, 특정 메뉴는 제외하는 기능도 추가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중
Ubuntu 16.04 LTS 에서 MongoDB 설치 오류 몇 가지 1. systemd (systemctl) 관련 오류우분투에 몽고DB 설치까진 잘 되었는데 서비스 시작이 안될 때가 있다. 나는 아래와 같은 오류를 만나서 당황했다.ubuntu@joonas-aws:~$ mongo --versionMongoDB shell version: 2.6.10ubuntu@joonas-aws:~$ sudo service mongod status● mongod.service Loaded: not-found (Reason: No such file or directory) Active: inactive (dead)ubuntu@joonas-aws:~$ sudo service mongod startFailed to start ..
Materials do not load when a new scene is loaded realtime? https://answers.unity.com/questions/1294288/...loaded-r.html 위 질문의 작성자와 완전히 똑같은 현상이었다. TabacoHabano라는 유저의 답변 덕분에 해결했다. 증상은 어떤 Scene에서 다른 Scene으로 갔다가, 다시 원래의 Scene으로 돌아오면 Material이 전부 까맣게 되는 것이다. 처음에는 동적으로 material을 로드했나 싶어서 전부 바꿔보고, 그래도 안되길래 이건 무슨 버그인가 싶어서 애꿎은 material들만 괴롭혔는데 해결법은 허무할만큼 단순했다. 상단 탭에서 Window > Lighting > Settings에서 Sce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