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55)
Joonas' Note
VSCode에서 터미널로 git bash를 열어 git pull 등의 원격지와의 통신을 할 때, 올바른 username과 password를 입력해도 로그인에 실패하거나 private repo를 못 찾는 경우가 있었다. SSH 설정도 문제가 아니었고, 2-factor auth도 문제가 아니었다. GitHub의 token 문제도 아니었다. VSCode가 아닌 git bash 터미널을 별도로 직접 실행하면 해결되었다.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사람들이 자신의 자동차 번호판을 고를 때, 외우기 쉬운 배열을 많이 고르지 않을까? 그럼, 숫자가 겹치면 외우기 쉬우니까 그런 차량이 많이 있으려나? 위는 근거 없는 추측일뿐이지만, 실제로 도로 위에서 숫자가 겹치는 번호판은 정말 많다. 그럼 정말로 도로 위의 차량 중에서 숫자가 겹치는 번호판을 만날 확률은 얼마나 될까? 먼저 번호판은 0 으로 시작하지 않으므로, 1000 부터 9999 까지 등장할 수 있다. 그럼 뒤 4자리(XX가 YYYY 중에서 YYYY)가 겹칠 확률만 계산해보자. def collide(n): a = {} for i in n: if i in a: return 1 a[i] = 1 return 0 cnt = 0 s = 0 for i in range(1000, 1..
localStorage에 저장해야하는 기능이 필요해서 redux-persist를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모든 reducer가 localStorage에 저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분리하여 관리하고 싶었다. 즉, 일부는 localStorage를 store로, 일부는 redux에서 생성한 store를 사용하는 것이다. Context API를 쓰기에는 Provider를 추가하고 다른 곳에서 쓸 수 있게 작업하는 것도 필요해서 꼭 이렇게까지 해야할까 생각하고 있었는데, 후배가 문서의 nested-persists를 읽어보니 설정을 reducer마다 구분하여 지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https://www.npmjs.com/package/redux-persist#nested-persists redux-..

오늘은 기존에 개발했던 게임의 로그 제공을 업데이트하면서 있었던 일을 정리하고자 한다. 배경 https://www.joonas.io/buffalo-chess/ Buffalo Chess Try to keep your village from the herd of rampaging buffalo www.joonas.io 기존에 만든 버팔로 체스는 Replay와 Share Replay 기능을 제공한다. 턴제 게임으로, 각 턴마다 어떤 타일이 움직였는지와 그 상태를 로그로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replay 기능에서 이를 다시 읽어서 그대로 시뮬레이션한다. 문제는 Share 기능인데, 서버가 없어서 로그를 URL 파라미터로 아래처럼 직접 전달하고 있었다. https://www.joonas.io/buffalo-ch..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3976 문제 2133번 문제와 같이 3×N 크기의 벽을 2×1, 1×2 크기의 타일로 채우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이지만, N의 범위가 1018 이다. 풀이 이전에 작성한 2133번 문제의 2번째 풀이 방법과 같지만 그것을 빠르게 계산해야한다. 피보나치 수를 빠르게 구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행렬을 이용한 거듭 제곱 트릭을 사용하면 된다. 수열의 값은 같으므로, 편의상 OEIS A001835 수열 f(n)=4⋅f(n−1)−f(n−2) 을 사용하겠다. 이것을 행렬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begin{eqnarray} \left( \begin{array}{ccc} f_{n} \\ f_{n-1}..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133 문제 3×N 크기의 벽을 2×1, 1×2 크기의 타일로 채우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풀이 3×N 벽을 채우는 경우를 f(n), 한 칸이 빈 3×N 벽을 채우는 경우를 g(n) 라고 하자. 왼쪽부터 2×1 또는 1×2 크기의 타일을 하나씩 채워보면서 가능한 경우를 살펴본다. g(0)와 g(2)는 타일을 채울 방법이 없으므로 g(0)=g(2)=0 이다.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이렇다. f(n)={0if n < 22g(n−1)+f(n−2) $$g(n) = \begin{cases} 1 & \text{i..

403 에러 원인에는 다양한 것이 있겠지만, 내 경우에는 구글 시크릿 모드가 원인이었다. 시크릿 모드에서 쿠키를 차단해서 생기는 오류였다. "크롬 브라우저 설정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 모든 쿠키 허용" 에서 설정 가능하다. 도움이 된 글: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4218755/getting-error-403-in-google-colab-with-tensorboard-with-firefox 여기에 다른 브라우저 (FIreFox 등) 의 해결법도 나와있다.

파일 내용이 10GB가 되는 것은 어떻게 정렬할까? 메모리에 올릴 수 있는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10GB 짜리의 큰 파일을 한번에 읽어서 quick sort 같은 인메모리(in-memory) 정렬을 할 수 없다. Linux/Mac에는 sort 라는 명령어가 있고, Windows에서는 git bash를 깔면 사용할 수 있다. 이미 있는 커맨드인지 모르고 python으로 직접 구현했다. 더보기 과정 메모리에 올릴 수 있는 만큼만 쪼개어서 올린 후, 각각을 정렬하고 다시 합친다. 여기서 "메모리에 올릴 수 있는 만큼"은 적당히 128MB로 설정했다. 이를 자세히 각 단계별로 쪼개면 이렇다. 준비 - 나눠 담을 크기를 계산 분리 - 큰 세그먼트 단위로 나누어 쪼개어 담는다. 정렬 - 쪼개진 각 파일을 ..